본문 바로가기
주요 이슈 요약/국제 경제 관련 이야기

5월 수출 발표, 대중국 수출 감소 장기화되나

by 00년 새내기 2023. 5. 23.
728x90

여전히 실망스러운 5월 수출

  • 5월 수출 역시 큰 개선 신호를 보이지 못했다. 대중 및 반도체 수출 부진, 그리고 무역수지 적자 기조로 대변되는 국내 수출 부진 현상이 아직까지는 해소될 시그널이 감지되고 있지 않다.
  • 관세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5월 20일까지 수출 증가율은 전년동기 -16.1%, 조업일수를 감안한 수출 증가율은 -13.2% 로, 4월 수출 증가율 -14.3%와 비교해서 큰 개선을 이뤄내지는 못했다.

 

 



자동차를 제외한 모든 품목 부진

  • 업종별로 보면, 20일까지의 반도체 수출 증가율은 전년 동기 -35.5%%로 30%대 감소세를 유지했다. 자동차를 제외한 주요 수출 품목이 대부분 감소세를 보인 가운데,
  • 유일하게 자동차 수출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54.7%로 군계일학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중국 수출 감소세 지속

  • 국가(지역) 별 수출을 보면 주요국 수출이 모두 역성장을 기록하는 모습을 보였다. 가장 관심이 높고 수출 반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대중국 수출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23.4%로 감소세가 장기화되고 있다.
  • 더욱 우려스러운 점은 뚜렷한 개선 기미를 보이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나마 대미 및 대 EU 수출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0%와 -1.1%로 상대적으로 양호한 감소폭을 기록 중이다.

 

 




대중국 수출 단기간 반등 어렵다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내 수출 경기를 좌우할 가장 큰 변수는 대중국 수출이다. 다만 중국이 부동산 시장 침체와 글로벌 경기 둔화 등으로 리오프닝 이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 못하다.
  • 리오프닝의 수혜를 받고 있는 부문도 대부분 서비스 부문이기에 반도체 등 주요 품목의 수출 개선을 기대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상반기 중 대중국 수출이 개선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된다.

  • 한국 수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바로미터가 되는 중국 생산자 물가지수의 개선이 상반기 중 개선될 가능성이 크지 않기에, 당분간은 중국의 리오프닝과 경기 정상화에 따른 수출 수혜를 기대하기는 요원해 보인다.

 


 

수출확산지수는 반등 중

  • 수출지표에서 뚜렷한 개선 시그널은 보이지 않지만 한국무역통계진흥원이 발표하는 4월 수출경기확산지수는 59.6으로 전월보다 7.8 포인트 상승했다.
  • 수출경기확산지수는 관세청의 통관 기준 수출 품목별 달러 금액을 토대로 산정되는 지표로, 수출 경기의 추세적 변화를 전망하는데 활용된다. 기준선인 50보다 높으면 확장 국면, 낮으면 수축 국면으로 해석되며 실제 수출 경기보다 약 7.7개월 선행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 수출경기확산지수는 지난 2월(72.2) 11개월 만에 기준선 위로 올라선 이후 3월 51.1, 4월 59.6으로 3개월째 확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 수출확산지수의 선행성을 고려하면 3분기 말 혹은 4분기 초부터 국내 수출 경기의 개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수출, 언제쯤 반등할 수 있을까

  • 3분기로 가며 선진국 수요 둔화와 중국 수요 회복 간 팽팽한 줄다리기가 예상된다. 대중국 수출은 부동산 투자 회복과 맞물려 재고 부담이 덜한 구경제 품목을 중심으로 개선세가 가시화되겠다.
  • 내수 회복과 연동된 수출 바닥 확인은 3분기 경으로 예상되나 회복 추세가 본격화되는 시점은 IT 수요가 동반되는 4분기 경으로 전망된다.
  • 반면 선진국의 경우 이연됐던 자동차 수요가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고 저소득층의 초과저축이 소진돼 추가적인 수요 둔화가 우려된다. 3분기까지 주요국의 엇갈린 수요 속에 지지부진한 수출 흐름이 이어지겠다.

 

728x90

댓글

00년 새내기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