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 이슈 요약/국제 경제 관련 이야기

1분기 GDP 성장률 발표 내용 및 의미와 전망

by 00년 새내기 2023. 4. 25.
728x90

 

한국은행  2023년 1분기 GDP 발표

한국은행이 우리나라의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발표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23년 1분기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분기 실질 GDP는 전기 대비 0.3% 성장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0.8% 상승했다. 설비투자는 감소하였으나 민간소비 등의 증가로 전망치였던 0.1%~0.2%를 소폭 상회했다. 1분기 GDP의 세부적인 내용과 그 의미와 한국 경제 전망에 대해 알아보

1분기 실질국내총생산 성장률, 0.3%를 기록했다.

1분기 GDP 발표 주요 내용.

국내 1분기 GDP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 -0.4%의 역성장에서 벗어난 0.3%의 플러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기저효과가 작용한 측면도 있지만 각종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 리스크를 감안하면 선방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1. 지출 분야별 성장기여도 주요 내용

  • 지출 측면에서는 민간소비가 1분기 성장을 견인했다. 우선 1분기 민간소비 증가율과 성장기여도는 각각 전기비 0.5% p, 0.3% p를 기록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난해 4분기 역성장에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했지만 양호한 민간소비는 오락문화 및 음식 숙박 등 서비스 관련 소비 호조에 힘입어 예상을 넘어서는 증가세를 보였다. 

 

  • 실제 민간소비는 오락문화, 음식숙박 등 서비스 관련 지출 증가에 따라 전기 대비 0.5% 성장했다. 지난해 4분기(-0.6%)와 비교하면 큰 폭 증가로 돌아섰다. 신승철 국장은 “마스크 착용 의무 방역지침 해제, 여행, 공연관람 등 대면 활동 등이 늘어난 게 민간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라고 설명했다.

 

  • 반면, 설비투자와 순수출의 성장기여도는 전기비 각각 -0.4%p 와 -0.1% p로 경기 반등을 제약하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아직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중국 리오프닝 효과 및 반도체 업황 부진, 그리고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등이 설비투자 부진과 순수출 회복 지연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판단된다.

 

  • 그나마 위안을 삼을 수 있는 것은 순수출 성장기여도 감소 폭이 축소되었다는 점이다. 지난해 3분기와 4분기 순수출의 성장기여도는 전기대비 각각 -1.8% p, -0.5% p를 기록한 바 있다

지출별 GDP 성장기여도 추이 : 민간소비가 1분기 성장을 주도했다. 순수출은 떨어지는 모습

2. 경제활동별 성장기여도 주요 내용

  •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의 경우 서비스업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제조업과 건설업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건설업은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1.8%포인트 증가했으나 서비스업은 의료·보건업, 사회복지서비스업, 문화·기타 서비스업 등이 늘었으나 도소매와 숙박음식업, 운수업들이 줄어 0.2% 포인트 감소해 마이너스 전환했다. 반면 제조업은 운송장비와 1차 금속제품 등이 늘어 2.6% 포인트 증가했다.

경제활동별 성장 기여도 : 4분기만에 플러스 상승세로 돌아선 제조업

 

3. 1분기 GDP의 의미 : 경제 저점은 어디인가

  • 국내 경기에 대해 상저하고, 즉 하반기에는 경기가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많다. 다만 1분기가 저점이 될지 2분기가 저점이 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했는데, 이번 발표를 통해 2분기가 바닥 다지기 국면이 될 것으로 보인다. 

 

  • 2분기보다 하반기 경기 반등을 예상하는 이유는 수출 경기와 반도체 업황 때문이다. 한국은행도 보도자료에서 밝혔듯, 하반기 국내 경기 반등의 출발점은 대중국 수출 경기 반등과 이에 따른 반도체 업황 개선이다. 그러나 중국 리오프닝 낙수효과가 미미한 상황이고 반도체 업황의 상반기 개선도 불투명한 상황이어서 2분기 중 경기 반등 시그널을 기대하기 어렵다.
  • 추가로 1분기 국내 성장률을 견인했던 민간소비가 2분기에는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부동산 PF 리스크 등으로 부동산 경기 급랭은 1분기 성장을 견인했던 건설 투자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보면 2분기는 더욱 경기가 하방 압력을 받지는 않더라도 반등을 주기에는 어려운 시기로 보인다.

국내 경기 반등 시그널은 경기선행지수순환과의 상관관계를 감안하면 반등하는 추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4. 1분기 GDP 향후 전망 : 한국 경제성장률 하향 수정될  것

  • 한국은행은 이런 요인을 감안해 오는 5월 발표하는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국제통화기금(IMF)이 제시한 1.5% 내외로 낮출 것으로 예상된다.

 

  • 한국은행은 2분기까지는 소비가 성장을 지탱하는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 국장은 “외부활동과 여행이 정상화되는 부분이 민간소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수출의 경우 4월 20일까지도 통관 기준으로 큰 폭의 마이너스를 지속했기 때문에 앞으로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라고 했다.

 

  • 우리 경제가 하반기 들어 반등하는 상고하저(上高下低) 흐름을 나타낼 것이란 기존 전망은 유지했다. 반도체 경기의 경우 삼성전자의 감산 조치에 힘입어 그간 쌓였던 재고가 소진되면 연말로 갈수록 살아날 것이란 기대감이 커졌다고 한국은행은 평가했다.

 

  • 신 국장은 “삼성전자의 감산 조치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쌓여 있던 재고가 어느 정도 줄어들면 다시 반도체 경기가 회복할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적절하고 필요한 조치였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