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 이슈 요약/국제 경제 관련 이야기

한국 고물가 끝나가나, 소비자물가 예상치 하회

by 00년 새내기 2023. 12. 6.

한국 11월 소비자물가 예상 하회


글로벌 디스인플레이션 현상이 부각되는 가운데 한국에서도 디스인플레이션 시그널이 발생했다. 11월 한국 소비자물가는 YoY +3.3%, MoM -0.6% 상승하며 전월치(+3.8%)와 예상치(+3.6%)를 큰 폭 하회했다. 변동성이 높은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하고 추세적 물가를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0%로 전월 대비 0.2%p 하락했다. 이는 미국, EU 등 주요국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11월 소비자물가 상세 내용


특히 식료품과 교통 부문 물가가 전월 대비 큰 폭 마이너스 전환하며 전월비 상승률이 마이너스 기록한 점이 눈에 띄는 부분이다. 근원 소비자물가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의 경우 YoY 상승률이 전월 3.6%에서 3.3%까지 둔화된 점도 고무적이었다.

지난달 발표된 10월 물가가 유가 및 농산물 가격 상승에 따라 3%대 후반까지 반등한 바 있으나 11월 들어 상승 폭을 크게 되돌리는 모습 나타났다.


11월 물가상승률 둔화는 수급여건 개선 및 국제유가 안정세로 농축수산물(전월비 △4.9%, 전년동월비 6.6%)과 석유류(전월비△3.5%, 전년동월비 △5.1%) 가격이 전월보다 크게 하락하고 수입차 할인 등 영향으로 내구재 가격 상승률도 둔화(전월비 △0.3, 전년동월비 2.5%)된 데 주로 기인하고 있다. 농산물·석유류 비중이 높은 생활물가는 전년동월비 4.0% 상승(10월 4.6%)하였다.

여전한 물가 경직성


다만 여전히 한국 물가에는 상방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더 크다고 판단된다. 한국의 경우에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서비스 물가의 하방 경직성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올해 7월부터 11월까지 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2.9%~3.1% 사이에서 등락하며 둔화세가 주춤한 상황이다. 집세의 경우 부동산 경기 부진에 따라 11월 마이너스 전환했지만, 개인 서비스와 공공 서비스가 복병으로 남아있다.

 

① 개인서비스


미국의 경우 서비스 경기 및 민간소비가 여전히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한국은 아니다. 지난 10월 산업활동동향에서 파악되었듯이 국내 내수 경기는 4분기 들어 빠르게 냉각되고 있다. 이는 추후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로 이어질 수는 있으나 서비스 물가의 하방 경직성이 예상보다 강한 모습이며 개인 서비스 물가는 4개월 연속 4%대 초반에 머물러 있다.

 

② 공공서비스


더욱이 공공 서비스 물가는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올해 국내 대중교통 요금은 잇달아 큰 폭으로 상승했는데, 대표적으로 서울 지하철 요금은 지난 10월 7일부터, 버스 요금은 8월 12일부터, 택시는 지난해 12월부터 인상되었다. 따라서 기저효과와 더불어 내년 서울 지하철 요금 150원 추가 인상 계획을 감안할 때 내년 상반기까지는 근원 소비자물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더불어 최근 가스비와 전기세 인상 여부도 논의되고 있는 만큼 수요 둔화와는 별개로 공공 서비스 물가를 바탕으로 물가의 상방 압력이 지속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식료품 가격 변동성이 크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300x250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매우 낮아


국내 가계들이 빚에 허덕이는 상황, 부동산 경기 냉각과 중국 경기 부진 등을 고려하면 사실상 한은의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해서는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판단한다. 미국의 디스인플레이션 기대감이 확대되고 있음도 한은의 통화정책 운용 여력을 다소나마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미국 국채 금리의 하락 전환과 함께 국고채 10년물 금리 또한 10월 말 이후 80bp 가파르게 급락했다.

 

한은의 물가 경계심은 유의해야


단 지난주 있었던 11월 금통위에서는 현재 통화정책을 충분히 긴축적인 수준이라고 평가하며 만장일치 동결을 결정했으나, 동시에 상당한 물가 경계감을 내비쳤다는 점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수요 둔화는 확인했으나 서비스 물가에 반영된 정도는 아직까지 부족하며, 국내 물가에는 앞서 언급한 외부 변수들도 남아있어 내년 초까지는 기대보다 물가 하락세가 완만할 수 있다.

따라서 물가의 2% 목표 수준 복귀 여부를 전망하기 위해서는 내년 상반기 총선을 앞두고 공공 서비스 요금 인상 논의 지연 가능성, 실제 수요 둔화가 개인 서비스 물가 하락에 본격적으로 가시화되는 시점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