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 이슈 요약/국제 경제 관련 이야기

중국 리오프닝 효과 아직 미비, 4월 실물지표 발표

by 00년 새내기 2023. 5. 17.

중국 리오프닝 효과 기대보다 미미

  • 시장에서 예상하기는 했지만 중국의 4월 주요 경제지표는 경제 정상화 수준과 속도가 기대치를 크게 하회하고 있음을 재차 확인시켜 주었다. 표면적으로는 반등한 것처럼 보이지만 기저효과에 의한 착시일 뿐 소비 역시 예상보다 부진하다.
  • 기존에 문제가 되었던 청년층 고용난이 더욱 심화되었고 부동산 역시 신규 착공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중국 물가는 디플레이션 압력과 더불어 기업 마진 압박 심화를 가리키고 있다. 중국의 리오프닝과 경기 정상화 수혜는 오롯이 중국에 국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4월 중국 실물지표, 높은 성장률에도 시장 예상 하회

  • 4월 중국의 산업생산은 전년동월 대비 5.6% 성장하는데 그쳤다. 기저효과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전월비 기준 0.47% 하락하면서 5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다시 내려갔다.
  •   4월 소매판매 또한 기저효과로 전년 동월 대비 18.4% 늘어나면서 큰 성장 폭을 기록하였으나 시장 예상치인 21.9%에는 큰 폭으로 하회했다. 기저효과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전월비 0.49% 증가하는데 그쳤다.


중국 리오프닝 효과 지연 : ① 부동산

  • 가장 우려운 것은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지속되는 현상이다. 1분기 중 다소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던 중국 부동산 경기가 다시 둔화되는 흐름이다. 4월 부동산 투자 증가율은 전년 동월 -6.2%로 3월 -5.8%에 비해 감소 폭이 더욱 확대되었다.

  • 부동산의 전반적인 경기뿐만 아니라 건설 투자도 문제다. 중국 정부 주도로 그나마 부동산 경기를 지탱하던 인프라 등 건설 관련 투자의 척도 중에 하나인 굴삭기 판매대수는 전년 동월 -23.5%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이후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감소세이다.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4월 고정투자 증가율은 시장 예상치인 5.7%는 물론 3월 5.1% 수준조차 하회하는 4.7%에 그쳤다.



중국 리오프닝 효과 지연 : ② IT 업종 부진

  • 미국과 중국 갈등의 핵심인 IT 업종의 부진도 눈에 띄는 부문이다. 4월 IT 업종 생산은 전년 동월 -0.4%로 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06년 통계발표 이후 IT 업종 생산증가율이 감소세를 보인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였던 09년과 팬데믹 시기였던 20년을 제외하고는 처음이다.
  •   무엇보다 IT 업종의 재고가 크게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점을 보면, 향후 업황 회복에 상당히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리오프닝 효과 지연 : ③ 고용시장

  • 중국 경제의 또 다른 문제는 고용이다. 4월 대도시 실업률은 소폭 개선되었지만 4월 청년 실업률은 20.4%로 사실상 개혁개방 이후 최고치로 평가된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더불어 IT 업황의 불황이 청년 실업률을 급증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 디플레이션 압력 커진다

  • 4월 중국 물가를 살펴보면, 디플레이션 압력이 계속 커지고 있다. 소비자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0.1% 상승하는데 그치면서, 시장 컨센서스(YoY+0.3%) 및 전월치를(YoY+0.7%) 하회했다. 소비자 물가 급락 배경 또한 기저효과가 크지만,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내수 수요가 충분치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 식품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0.4% 상승, 비식품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0.1% 상승하는데 그쳤다. 근원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0.7% 상승하면서,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 한편 생산자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3.6% 하락하면서, 전월치(YoY-2.5%) 및 시장 컨센서스 (YoY-3.3%)를 큰 폭으로 하회했다. 소비재 생산자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0.4% 상승하는데 그치면서 상승 폭이 둔화되었고, 생산재 생산자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4.7% 하락하며 감소폭이 확대되었다.
  • 광업, 원자재, 제조업 생산자 물가는 각각 전년동월대비 8.5%, 6.3%, 3.6% 하락하면서, 감소 폭이 모두 확대되었다. 광공업 전반에 걸쳐 마진 압박이 더욱 심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 정부의 공격적 부양책 필요

  • 올해 발표된 중국의 실물지표들을 종합해 볼 때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는 연초 예상과는 달리 극히 제한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저효과와 일부 보복소비 등으로 인한 서비스 업황의 반등과 소비 역시 제한적이다. 중국의 저축률과 실업률 등을 보면 내수 여력이 개선될 여지도 많아 보이지 않는다.
  • 따라서 중국 경제의 정상화를 자율적 보복소비에 기대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 보다 적극적인 부양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무업소다 경기와 고용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동산 경기의 회복이 절실해 보이며 이를 위해서는 정책 금리 인하와 규제 완화 등의 적극적인 부양조치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