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부동산15 부동산 PF 구조와 동향, 부실 우려 리스크와 향후 전망 부동산 PF 시장 부실 우려 지속금융당국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와 관련해 전 금융권 차원의 PF 대주단을 출범시키며 정상화에 나선 가운데 증권업계의 PF 대출 연체율은 여전히 위험 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업권별 부동산 PF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증권사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10.4%에 달했다. 시장에서는 부동산 PF 시장에 대한 깊은 우려가 팽배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동산 PF 시장의 구조와 현황, 현재 직면하는 리스크와 향후 전망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부동산 PF 시장의 구조 : 브릿지론과 본 PF부동산 PF 시장은 금융기관이 취급하는 브릿지론과 본 PF로 구성되어 있다. 브릿지론은 .. 2023. 5. 11. 대구 미분양 주택 현황과 이유 및 전망 부동산 시장의 뜨거운 감자, 미분양 주택최근 부동산 시장이 약간의 반등을 하려는 추세를 보이며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부동산 시장의 반등을 선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과 바로 미분양 주책 추세이다. 2023년 3월 전국 미분양 주택 수는 72,104호를 기록했다. 전월 대비 4.4% 감소했다. 11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긍정적이지만 미분양 주택의 증가 추세가 장기간 지속되고 있어 여전히 우려를 안고 있다. 대구는 이러한 미분양 사태의 중심에 있는 지역이다. 대구의 미분양 주택 현황과 향후 주택 경기 향방에 대해 살펴보자.대구, 미분양 주택 재고 최다 보유2023년 3월 5대 광역시 미분양 주택 수는 23,205호로, 전국 72,104호의 약 32%를 차지했다. 5대 .. 2023. 5. 8. 부동산 경기 반등과 하락 리스크 및 향후 전망 부동산 경기 반등과 하락 리스크 및 향후 전망 최근 국내 부동산 시장의 주택매매 및 전세 가격의 하락세가 둔화하며 부동산 경기 낙관론이 대두되고 있다. 작년 6월 이후 하락세로 전환된 매매가격 및 전세가격 증감률은 올해 초 이후 완만하게 둔화되고 있다. 또한 가계의 1년 후 금리전망을 나타내는 금리 수준 전망 역시 작년 11월 고점으로 하락하기 시작했다. 이에 부동산 경기 반등 움직임과 리스크를 점검하고 향후 부동산 경기에 대한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부동산 경기 반등 요인 1. 주택 가격 고평가 완화 추세 우선 주택가격의 고평가가 빠르게 조정되어 잠재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래의 그래프는 주택가격소득비율, 주택가격임대료비율, 주택 관련 대출금리를 활용하여 주택가격의 고평가 여부를 .. 2023. 4. 25. 미국 부동산 시장 불안 급증, 한국은 안전한가 미국 상업용 부동산, 금융시장 뇌관 우려 글로벌 금융시장이 실리콘밸리은행(SVB) 및 크레디트스위스(CS) 사태 등으로 살얼음판을 걷는 가운데 미국 상업용부동산(CRE) 시장이 다음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고금리와 코로나19로 인한 높은 공실률로 빌딩 가격이 25%나 폭락한 상황에서 CRE 금융 차입금의 70%를 담당하는 중소 은행까지 흔들려 신규 금융 차입은 물론 차환도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상업용 부동산저당증권의 연체율 상승 최근 미국 상업용 부동산저당증권(CMBS)의 연체율이 급등하고 있다. 상업용 부동산저당증권은 자산유동화증권의 하나로 금융기관이 업무용 건물이나 상가, 호텔 등 상업용 부동산을 담보로 빌려준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발행한 증권을 의미한다. 이는 정부보.. 2023. 3. 27. 이전 1 2 3 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