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부동산15

역전세와 주택가격,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 역전세, 한국에서만 발생하는 특이 현상 2022년 인플레이션에 따른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은 우리나라 경제와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주택거래가 급감하고 가격이 급락하는 시장 위축 현상이 발생했다. 우리나라 고유의 전세제도는 제3자 대출의 성격으로 예금금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데, 2014년부터 시행된 전세자금 대출로 인해 전세시장은 금리 변동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었다. 특히, 임대차 2법 도입에 따라 급등한 전세가격이 세계적인 고금리로 빠르게 조정을 받으면서 '역전세'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주택시장은 자산시장과 임대시장으로 구분되며, 임대시장이 자산시장에 영향을 주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주택 임대시장의 변화가 순차적으로 주택가격과 거래량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 구조이.. 2023. 2. 22.
종합부동산세 개정사항 및 시사점 최근 부동산시장 침체기에 맞춰 종합부동산세도 정상화하는 세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지난 부동산 가격 상승기에 정부는 부동산 가격 억제를 위해 투기지역 지정 및 다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강화정책을 추진하였다. 2022년 초부터 발생한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세계 각국은 기준금리를 인상하였고, 이에 따라 자산의 가격이 하향 조정되고 있다. 주택시장에서는 "거래절벽" 현상이 지속되면서, 급급매만 거래되는 품귀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부동산시장이 상승국면에서 하락국면으로 전환됨에 따라 그간 추진된 투기억제 정책은 부동산시장 활성화 정책으로 전환되고 있다. 국세의 세수 규모 변화를 살펴보면, 종합부동산세의 세수 증가가 큰 것을 알수 있따. 2021년 기준 국세의 규모는 소득.. 2023. 1. 26.
부동산 폭락에 따른 PF 리스크, 정말로 실존하는가 우리나라 부동산 금융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부동산 관련 PF(Project Financing), 즉 기업금융을 중심으로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최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커플링으로 한국의 기준금리 상승과 부동산 경기 둔화에 따라 일부 부동산 PF의 신용 리스크를 시작으로 부동산 기업금융의 연쇄 부실 위험이 금융시스템의 안정을 해치고 시스템리스크를 촉발시킬수 있다는 우려가 곳곳에서 제기된다. 이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 부동산 기업금융의 주요 특징과 리스크를 평가하고 부동산 경기 위축 및 계속적인 기준금리 인상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금융시스템에 가해질 충격과 대응여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부동산 PF란 부동산개발사업의 추진에 필요한 자금을 PF방식으로 조달하는 기법을 말한다. PF(Project Fi.. 2022. 12. 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