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란 무엇인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일반적인 저축 상품이 아닙니다. 바로 ‘정부가 함께 저축해주는 계좌’입니다. 2022년부터 시행된 이 사업은 청년의 자립과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쉽게 말해, 본인이 매달 10만 원을 꾸준히 저축하면 정부가 매달 10만 원을 함께 넣어줍니다.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에 해당한다면 정부 지원금은 무려 매달 30만 원까지 올라갑니다. 그렇게 3년을 모으면 총 720만 원~1,440만 원까지 받을 수 있고, 여기에 최대 연 5%의 이자까지 더해지게 됩니다.
이것은 단순한 돈이 아니라, 청년의 미래를 위한 ‘씨앗’입니다. 누구는 학자금 상환에 보태고, 누구는 전세자금에 보태며, 또 누군가는 창업의 밑천으로 삼습니다. 바로 그 ‘내일’을 준비하기 위한 정부의 대표적인 자산형성 지원정책인 것입니다.
올해 달라진 주요 포인트 3가지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는 ‘한층 더 다가가기 쉬운’ 정책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작년에 비해 기준이 대폭 완화되고, 실질적 관리 편의성도 눈에 띄게 향상되었습니다.
첫째, 가입 기준이 완화되었습니다. 기존에는 월 230만 원 이하의 근로소득자만 가입이 가능했지만, 올해부터는 월 250만 원까지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이로써 더 많은 청년이 해당 제도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둘째, 계좌 관리가 온라인으로 간편해졌습니다. 기존에는 해지나 일시중지 등을 위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직접 방문해야 했지만, 올해 하반기부터는 온라인 복지로 포털(www.bokjiro.go.kr)에서 본인 인증만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셋째, 맞춤형 금융교육도 제공됩니다. 3년 만기 해지를 앞둔 청년들에게는 자산관리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금융교육과 1:1 상담이 제공됩니다. 이는 단순히 ‘돈을 모으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돈을 어떻게 현명하게 사용할 것인지까지 돕는, 매우 실질적이고 유용한 변화입니다.
누가 가입할 수 있나
‘나는 해당될까?’가 가장 궁금할 독자분들을 위해, 아래 기준을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 나이 조건: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100% 이하라면 19세34세까지, 50% 이하라면 15세~39세까지 지원 가능
- 소득 기준: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또는 50%~100% 구간에 해당하는 저소득 근로청년
- 근로 소득: 월 10만 원 이상 근로소득자(단, 일반 계층은 월 50만 원 초과~250만 원 이하)
자신의 중위소득 구간이 궁금하다면, 보건복지부나 자산형성포털에서 제공하는 중위소득 계산기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1인 가구 기준 월소득이 약 102만 원~204만 원 사이라면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
3년 후 얼마 받을 수 있을까? 상황별 실수령액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단순히 ‘정부가 지원해주는 저축’ 그 이상입니다. 3년 후 실제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상황별로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일반 저소득 청년:
- 본인 저축금 월 10만 원 × 36개월 = 360만 원
- 정부 지원금 월 10만 원 × 36개월 = 360만 원
- 총 수령액 = 720만 원 + 이자
-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청년:
- 본인 저축금 월 10만 원 × 36개월 = 360만 원
- 정부 지원금 월 30만 원 × 36개월 = 1,080만 원
- 총 수령액 = 1,440만 원 + 이자
여기에 더해, 적금 상품으로 연 최대 5% 금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실질 수령액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보통 이자까지 합치면 최소 수십만 원이 더해지는 구조이므로, 총 자산형성 효과는 상당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신청하나요
2025년 신규 가입 신청은 5월 2일부터 5월 21일까지입니다. 총 4만 명이 선발될 예정이며, 신청 방법은 아래 두 가지입니다.
- 온라인 신청: 복지로 포털 (www.bokjiro.go.kr)에서 본인 인증 후 신청
- 오프라인 신청: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단, 오프라인 신청 시에는 사전투표 일정과 겹쳐 혼잡이 예상되므로 5월 16일 이전 방문을 권장합니다. 신청 후 6~7월 동안 소득·재산 조사를 거쳐 대상자를 선정하며, 8월부터 적립이 개시됩니다.
대상자로 확정되면 가까운 하나은행 지점 또는 하나은행 ‘원큐앱’을 통해 통장을 개설해야 하며, 매월 본인 저축금을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이 함께 적립되는 방식입니다.
신청 시에는 반드시 필요한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복지로 및 자산형성포털에서 사전 확인과 양식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종원 방송활동 중단, 더본코리아 주식·사과·논란·방송 중단 전말 정리 (3) | 2025.05.06 |
---|---|
기초연금 모의계산, 신청 절차, 불이익 리스크, 2025년 수급 자격 변화 (0) | 2025.05.05 |
한덕수, 대통령 임기 단축 개헌, 진짜 가능한가? 헌법이 허락한 조건들 (2) | 2025.05.02 |
이승기 장인 주가조작 공범?” 라임 사태 1조6000억 증발의 진실 (3) | 2025.04.30 |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변화 총정리 : 모두채움 안내문 (4) | 2025.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