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미국 PPI2

미국 경기 둔화, 현실화 되는 지표들 미국의 경기 둔화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이야기해왔던 바 있다. 여전히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 경우가 많고 동일한 경제 지표에 대해서 다른 방향으로 해석하는 등 혼란스러운 시장의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어제 미국의 증시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나름 의미 있는 방향을 보였다고 생각한다. 물가와 소비 두 파트의 주요 지표가 동시에 발표되었는데, 시장은 침체에 대한 우려를 더 신경 쓴 것으로 보인다. 오늘은 어제 미국 증시를 움직였던 여러 지표들에 대해 포스팅해보고자 한다.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대비 7.1% 상승에서 6.5% 상승으로 둔화된 가운데 이날 발표된 생산자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7.4%에서 6.2%로 급락하였다. 소비자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01.% .. 2023. 1. 19.
12월 9일 미국증시(생산자물가지수 여파 다소 하락) 1. 시장 예상치를 상회한 11월 생산자물가지수 발표로, 금리우려 속 장 마감 - 전년대비, 전월수치, 근원PPI 까지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함 2. 다만 상승된 PPI가 12월 및 2월 FOMC 금리 예상에는 큰 영향을 미치진 못함 - 미국 12월 및 2월 FOMC 금리 점도표를 변화시키지는 못함 - 즉, 시장은 안좋게 반응하였으나 통화정책 기조의 급격한 변경을 예상하진 않으 3. 오전 PPI 발표 이후 오후에 일부 상승세를 보이는 등 변동성 심한 장세 - 변동성이 컸던 이유는 부정적 이슈인 PPI 상승, - 긍정적인 이슈인 임대료 하락 및 FOMC 금리점도표 견고 등이 혼재되었기 때문으로 보임 - 추가로 미시간 대 발표한 기대인플레이션 하락으로 이는 시장에 긍정적인 요인 4. 서비스물가 리스크 확인.. 2022. 12. 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