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 이슈 요약/국제 경제 관련 이야기

트럼프 ‘관세 외교’, 한국과 일본을 먼저 부른 이유

by 00년 새내기 2025. 4. 9.
728x90

 

트럼프 관세 외교, 동맹국 먼저

2025년 4월, 미국의 무역 전략이 급격하게 방향을 틀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연임 이후 처음으로 본격적인 통상 정책을 가동하며, 세계 각국에 무차별적 ‘상호관세’를 선언했다.

관세 폭탄이라는 이름 아래 무역불균형을 바로잡겠다는 그의 오랜 기조는, 이번에도 예외가 없었다. 그러나 흥미로운 점은 그가 먼저 손을 내민 상대가 중국이나 유럽연합이 아니라, 한국과 일본이라는 사실이었다.

 

한국, 일본 먼저 부른 이유는

 

수많은 국가들이 미국에 협상 요청서를 보내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동맹국이자 미국과의 교역에서 지속적인 흑자를 내고 있는 한국과 일본을 우선 순위로 올렸다. 세계는 이 선택에 의문을 품는다. 왜 미국은 ‘보복’을 선언한 중국이나, ‘대응 관세’를 검토 중인 EU가 아닌, 가장 친밀한 동맹국들부터 불러냈을까?

 

그 대답은 단순하지 않다. 이는 동맹에 대한 신뢰라기보다는, ‘동맹이기 때문에 먼저 양보를 끌어낼 수 있다’는 전략적 계산에서 비롯된 접근으로 해석해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단순한 상호관세를 넘어 LNG, 조선업, 군사적 분담금 등 복합적인 경제·안보 이슈를 테이블 위에 올려놓았다. 더 이상 ‘무역’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전략 차원의 압박과 설득이 교차하는 복합 협상이 시작된 것이다.

 

 

트럼프

 

트럼프 - 한덕수 통화 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트럼프 대통령의 전화 통화는 그 신호탄이었다. 트럼프는 통화 직후 SNS를 통해 한국의 무역흑자, 조선업 문제, 미국산 LNG 구매, 알래스카 가스관 사업, 군사적 방위 비용까지 언급하며 사실상 공개적인 의제 설정을 완료했다. 한국이 미국에 빚진 ‘경제적·군사적 부담’을 전면화한 셈이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에 급파되어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실무협상에 착수했고, 트럼프 행정부는 “긴밀한 동맹인 한국과 일본을 우선 협상국으로 삼았다”는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전파하고 있다. 그러나 그 배경에는 미국의 무역 적자를 빠르게 줄이기 위해 가장 확실한 카드로 한국과 일본을 택한 냉정한 계산이 깔려 있다

.

미국의 이번 상호관세는 한국에도 예외가 아니었다. FTA를 체결해 사실상 대미 관세가 ‘제로’였던 한국에 대해, 미국은 무려 25%의 고율 상호관세를 매긴 것이다. 관세 인상 자체도 충격적이지만, 더 큰 충격은 그 의도가 ‘협상의 지렛대’로 사용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이다.

 

한국이 미국산 수입을 늘리고, LNG 및 조선 관련 합작 사업에서 미국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이며, 군사적 지원과 비용 분담에서 좀 더 유연해진다면, 이 관세는 조정될 수 있다는 조건부 메시지가 암묵적으로 던져진 것이다.

 

실제로 미국 재무부 스콧 베선트 장관은 “70개국이 협상을 요청했고, 우리는 우선순위를 정했다”며, 한국과 일본이 선두 그룹임을 시사했다. “협상의 문은 열려 있지만, 면제나 예외는 당장은 없다”는 발언 역시 미국의 전략을 분명히 드러낸다. 압박을 통한 유도, 그리고 양보를 통한 성과의 시각화. 이는 트럼프식 외교의 전형적 패턴이다.

 

이제 협상은 시작됐다. 하지만 속도를 내기보다, 한국 정부는 일본과 EU의 움직임을 동시에 주시하며 신중하게 대응하려는 기류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의 양보가 내일의 후회가 될 수 있고, 당장의 합의가 다른 국가보다 불리한 조건일 수 있다는 것을 한국은 이미 지난 행정부에서 경험했다.

 

한덕수

 

중국, 확고한 배제 의도는

흥미로운 점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일본을 먼저 상대하면서도 중국에는 확고한 ‘배제의 신호’를 보냈다는 점이다. 중국은 이미 상호관세에 보복으로 대응했고, 미국도 더는 협상보다 ‘총력전’의 전략으로 접근하고 있다. 그렇기에 한국과 일본은 ‘보복보다 협상이 유리하다’는 본보기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즉, 트럼프 행정부는 상대적으로 ‘조정 가능한’ 국가인 한국과 일본에게서 관세 조정이라는 성공적 외교적 사례를 먼저 만들어내고, 이를 근거로 나머지 국가에 압력을 확대할 수 있다는 셈법이다. 이 과정에서 한국은 단순히 양보할 것인가, 아니면 국익을 지키면서도 미국의 요구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인가가 중대한 시험대가 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덕수 권한대행과의 통화를 언급하며, “양국 모두를 위한 훌륭한 합의의 윤곽이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그 ‘윤곽’ 속에 담긴 구체적 조건과 한국이 감당해야 할 비용은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 긍정적인 단어들로 채색된 이 합의의 전제는 분명하다. 미국의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한 실질적 행동, 그리고 한국의 경제적·정치적 유연성이다.

 

300x250

 

주목 산업 및 리스크

이번 협상을 외교 사안이 아닌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면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투자자에게는 산업별 기회와 리스크가 복합적으로 혼재한 사건이다. 아래는 투자자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산업과 기업 동향이다.

 

① LNG 및 에너지 인프라

 

미국산 LNG 수입 확대는 SK E&S, 포스코인터내셔널 같은 기업에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알래스카 가스관 사업에 한국 기업이 합류할 경우, **장기적 수익성 있는 JV(합작 투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② 조선업

 

미국은 현재 자국 내 조선산업 경쟁력이 낮아, 한국 조선업체들과의 기술 및 생산 협력을 통해 간접적으로 'Made in USA' 효과를 노리고 있다.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지주, 한화오션 등이 해당 수혜주로 부각된다.

 

③ 자동차 및 철강

 

가장 큰 리스크는 현대차그룹과 POSCO홀딩스 등이다. 자동차·철강은 현재 고율 관세의 직격탄을 맞은 품목이며, 협상 결과에 따라 기업 실적이 크게 출렁일 수 있다.

 

④ 방위산업

 

군사적 방위비 분담 논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같은 방산주에 중장기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방산 수출과 기술 협력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으며, 이는 미국 내 일자리 창출과도 연결되기에 양측 모두 긍정적으로 접근할 여지가 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