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증시 상승세
중국 증시 상승세 배경
중국과 홍콩 증시가 모처럼 글로벌 증시 대비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1 분기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기대치를 상회했고 정부의 증시, 부동산 부양정책이 지속 발표되는 가운데 미국의 금리 인하 시기가 지연되면서 상대적으로 저평가 되어 있던 중국 증시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었다. 주춤해졌던 외국인자금의 매수세도 다시 강해졌다. 4/26 하루에만 외국인자금(북향자금)은 224.5 억 위안 순매수했다. 2014 년 11 월 후선강통 제도가 도입된 이후 최대 규모다.
중국 증시에서도 외국인자금의 방향성은 중요하다. 지난 10 년간 1 일 외국 인 자금이 100 억 위안 이상 유입된 날은 총 64 일이다. 100억 위안의 자금이 유입된 이후 1주, 1개월, 1분기 증시 수익률을 살펴보면 평균적으로 2~4% 의 상승폭을 기록했으며 대형주, 중소형주 모두 상승했다.
1. 낙관적 전망 점증
중국 경기에 갖는 낙관적 전망이 점증한다. 지속성에 갖는 의구심은 잔존하나 적어도 바닥은 통과했다는 인식이 우세하다. 순환적 관점의 제조업 경기 회복이 배경이다. 4월 공식 제조업 PMI는 50.4를 기록해 2개월 연속 확장 국면을 이어간다. 올해 중국 GDP 성장률 컨센서스(Bloomberg)는 4.6%에서 4.8%로 상향됐고 골드만삭스와 UBS 등 주요 글로벌 IB도 중국주식 비중확대 의견을 제시했다.
2. 중국판 밸류업 프로그램
자사주 매입 후 소각도 현금배당으로 인정한다. 연초 이후 A주 자사주 매입규모 가 전년동기비 246.1% 급증한 배경이다. 홍콩 금융시장 지원책도 강화된다. 중국 기업의 홍콩 IPO를 지원하고 본토-홍콩 거래소 간 Connect trading 규정을 완화할 계획이다. 또 아시아에서 최초로 비트코인 현물 ETF(홍콩)를 승인하면서 정부의 자본시장 스탠스 전환을 확인했다. 중화권 증시 멀티플 회복의 배경이다.
3. 내수 부양책
내수 회복을 위한 부양책도 강화된다. 연준 피봇 불확실성에 대응해 신중한 통화정책을 구사하는 반면, 특별국채 발행 등 확장 재정의 강도를 높여간다. 정부는 소비진작을 위한 자동차 이구환신(노후차량 교체 지원) 세칙을 발표했다. 최대 1만위안(약 190만원)의 보조금 지급이 주요 골자다. 약 100~200만대의 판 매량 증가 효과가 기대된다. 가전 등 내구재 이구환신 정책도 이어질 전망이다.
업사이드 리스크를 경계해야 할 국면이다. 경기사이클과 정책 변화 공히 주식시장에 우호적 변수다. 더군다나 역사적 밴드 하단에 위치한 밸류에이션은 강력한 투자유인이다. 글로벌 증시에서 중화권 주식만큼 저평가 되어있는 자산은 찾기 힘들다. “싸다”는 이유만으로 주식시장이 강세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우호적 변수” 는 상승 트리거로 작용할 수 있다.
추가 상승 가능할까
다만 증시 상승세가 지속될 지는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외국인자금의 유입 외에도 증시 호황은 해외직접투자(FDI)가 증가세를 이어갈 때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의 FDI 는 감소 중이다. 뿐만 아니라 1-2 월 경기지표가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던 반면 3 월 경기 지표는 인프라, 제조업 투자를 제외하면 대부분 전월대비 둔화했고 3 월 공업기 업 이익 지표도 1-2 월 +10% 증가에서 3 월 -3.5% 감소로 전환되었다. 아직 경기 회복의 기반이 견고하지 않다.
그래도 제조업 경기는 바닥을 지나고 있는 모습이다. 4 월 제조업 PMI 는 3 월대비 소폭 둔화했지만 50.4pt 로 2 개월 연속 경기확장국면을 유지했다. 신규 주문 지수, 신규 수출 주문 지수도 각각 51pt, 50.6pt 로 모두 기준선을 상회하며 수요 가 회복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3 월 수출 지표가 높은 기저로 -7.5%로 5 개월 만에 다시 역성장을 기록했으나 해외 수요가 개선되고 있다면 4 월과 5 월 중국 수출 지표는 플러스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 글로벌 제조업 경기가 양호할 때, 중국에서는 대형주가 중소형주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모습을 보였다. 중국의 밸류업 프로그램도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주주 환원을 중요시 한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실적이 안정적인 대형주에 유리한 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이슈 요약 > 국제 경제 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등 미중 무역 분쟁 심화와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 (33) | 2024.05.14 |
---|---|
미국 고용지표 둔화로 이어가는 금리 인하 기대 (33) | 2024.05.08 |
5월 FOMC 주요 내용과 연내 금리 인하 시점 및 미국 증시 전망 (51) | 2024.05.02 |
이란 이스라엘 분쟁 이후 국제유가 동향 점검 및 향후 전망 (43) | 2024.04.30 |
중국 경제 반등 전망과 성장세 둔화 전망, 엇갈린 시각 (42) | 2024.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