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주요 이슈 요약/국제 경제 관련 이야기467

2월 FOMC의 시사점 및 이후 전망 2월 FOMC의 시사점 2월 FOMC에서 25bp의 기준금리 인상이 단행되었다. 시장은 확실시되었던 금리 인상폭 보다 연준의 금리 인상 종료 시점에 더 관심을 두고 있었다. 파월 의장은 2월 FOMC를 통해 금리 종료 시점에 대한 힌트를 일부 제공하였다고 판단된다. 1. 인플레이션의 둔화 과정이 시작되었다. 2. 2번의 추가 금리 인상(A couple of more rate hikes) 12월 FOMC 이후 인플레이션 둔화 및 고용시장 둔화와 경기 둔화 가속화 등 연준의 정책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여러 경제 지표들이 발표되면서 최종 금리 전망은 불확실성이 높고 예측 가능성이 낮은 상황이었다. 하지만 이번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을 통해 최종 금리 수준이 최대 5.25%, 시점으로는 5월을 넘기지 않을 것이라.. 2023. 2. 2.
2023년 미국 금리 인하, 가능할까? 시장에 만연한 금리 인하 기대 올해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게 보는 사람은 많지 않다. 12월 FOMC 의사록에서도 나왔듯이 현재까지의 연준의 스탠스는 올해 금리 인하는 없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금융시장은 인하 가능성을 빠르게 반영하고 있다. 미국 고용보고서의 임금상승률 둔화가 시작되기 시작한 1월 초부터 미국의 2년물, 10년물 국채의 금리는 급락했다. 미국의 경기 둔화는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 지역 연은 제조업 지수는 이미 금융위기와 코로나 19 침체 초반 수준으로 하락 중이다. 지난해 미국 경기를 지탱하던 소비도 힘을 잃고 있다. 11월~12월 실질소비는 2021년 말 이후 처음으로 2개월 연속 감소하였으며 저축률도 최근 3개월 연속 반등하였다. 가계가 .. 2023. 2. 1.
2023년 국제 유가 전망, 지속 상승 예상 2023년 국제 유가 및 원유 수급 전망 국제 유가는 2022년 한 해 동안 크게 요동쳤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에는 타이트한 수급으로 국제 유가가 크게 상승했으나, 이후 중국의 낮은 수요와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하락하였다. 하반기에는 유가가 빠르게 하락하였는데, 이는 낮은 원유 수요, 높은 금리와 달러화 강세, 공급 부족 우려에 대한 과민반응, 투기성 투자자들의 철수 등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2023. 2. 1.
IMF 경제 전망 수정, 한국 경제 부정적 전망 IMF 경제 전망 수정, 한국 경제성장률 추가 둔화 반영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0% 에서 1.7% 로 하향 조정했다. 국내외 주요 기관의 전망과 같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국제통화기금 역시 올해 한국 경제가 1% 대 저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제통화기금은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와 유로존 경기 회복 영향 등을 반영하여 세계 경제성장률과 주요 국가 성장률 전망치를 대체로 상향 조정했다. 1. 세계 경제 성장률 세계 경제 성장률은 2023년 2.9% 로 2022년 10월 대비 0.2%p 상향 조정되었다.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기준 금리 인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속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리오프닝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와 미국, 유로존 등 주요국의 예상외의 견조한 소비.. 2023. 1. 3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