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도체 수출3

한국 수출 여전히 더딘 회복, 그래도 최악은 지났다. 7월 한국 수출 감소폭 다시 확대 7월 한국 수출은 503.3억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16.5%를 기록하며 감소폭 재차 확대하였다. 6월 들어 개선세를 보이던 한국 수출은 7월 들어 다시 악화되는 모습이다. 조업일수 영향을 제외한 일평균 수출 감소폭은 -16.5%로 2개월 연속 확대된 가운데, 수출 물량도 -5.0%로 감소 전환하였다. 무역수지는 2개월 연속 흑자 무역수지는 2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으나, 6월과는 차이점이 있다. 6월은 수출감소폭이 축소되고 수입 감소도 단가 영향이 컸다. 반면, 7월은 수출 감소세가 확대되었지만, 수입 물량이 12.3% 급감하면서 흑자를 기록하였다. 이는 6월처럼 에너지 가격 하락 영향뿐 아니라 대내 경기 둔화로 인해 반도체, 반도체 장비, 철강 등 주요 품목 수입이 .. 2023. 8. 2.
한국 수출 지속되는 부진, 저점 통과 가능성 당분간 이어질 수출 부진 5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5.2% 줄어 두 자릿수 감소폭이 유지됐다. 조업일수를 감안한 일평균 수출은 9.3% 줄어 감소폭이 축소되었으나 여전히 두 자릿수 감소폭에 가깝다. 수입은 기저효과로 인한 단기 하락과 물량 감소가 동반되어 14% 줄었다. 수입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며 무역적자는 21억 달러를 기록해 개선세를 이어갔다. 선진국 수요 둔화 지속 선진국 수요 둔화가 점차 가시화되는 조짐이다. 대미국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5% 감소해 2개월 연속 줄었고, EU향 수출은 2개월 만에 3% 감소 전환됐다. 대일본 수출은 8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졌다. 대중국 수출과 아세안향 수출은 각각 20.8%, 21.2% 줄며 부진이 이어졌다. 연초 이후 차별적 호조를 보였던 중동향 수출이.. 2023. 6. 2.
한국 수출 감소와 무역적자 지속 원인 및 반등 시기 전망 한국 4월 수출 감소 및 무역적자 지속한국 4월 수출이 이번에도 감소세를 이어갔다. 전년 동월 대비 -14.2% 감소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감소폭도 확대되었다. 수출 부진이 지속되면서 무역 수지는 -26.2억 달러를 기록, 14개월 연속 적자를 이어갔다. 무역적자가 14개월 이상 지속된 것은 지난 1995년 1월 ~ 1997년 5월(29개월)여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한국 수출 및 무역 부진의 원인4월 수출의 부진은 지난해 역대 4월 중 최고 실적을 달성했던 기록에서 나온 기저효과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가운데 전년 동월 대비 조업일수가 1일 감소하고, 글로벌 수요 둔화가 주력 수출 품목의 감소로 이어지면서 나타났다.주요 품목의 수출 감소 : 반도체 특히 반도체와 대중국 수출 부진이 지속되면서 마이너스 .. 2023. 5. 2.
728x90